리눅스 명령어는 수천가지가 넘는다. 이 명령어들을 하나하나 다 외운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.
그 중 반드시 알아야만 할 몇 가지 기본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자.
이번 포스팅에서 정리할 명령어는 외워야 한다기 보다는 당연히 알고 있어야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명령어이다.
ls
파일이나 폴더의 목록을 볼 수 있다.
ls 디렉터리 : 특정 폴더 내의 파일/폴더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.
ls -a 디렉터리 : 숨김파일까지 볼 수 있다.
(참고 : 리눅스에는 파일 숨김 속성이라는 개념이 없다. 파일명 가장 앞에 '.'을 붙이면 자동으로 숨김 파일이 되는 것이다.)
ls -l 디렉터리 :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을 자세하게 보여준다. 항목이 디렉터리일 경우는 '-'로 시작한다.
cd
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이다.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명령어이다.
cd 디렉터리경로 : 이 명령어로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 가능하다.
이렇게 이동한 경우 정확한 위치를 바로 알 수 없기 때문에, cd명령어로 이동한 뒤 pwd 명령어를 통해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 하는 것이 좋다.
'/' 는 리눅스의 최상위 폴더인데, 이를 root 디렉터리라고 부른다. cd / 명령어로 root 디렉터리로 이동할 수 있다.
cd ~사용자명 : 해당 사용자의 home 디렉터리로 이동한다.
cd.. : 바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
디렉터리 경로 앞에 '/'로 시작하면 절대경로, 바로 경로명부터 시작하면 현재 경로로부터 시작하는 경로로 이동한다.
cd . : 현재 디렉터리
pwd
현재 디렉터리의 전체 경로를 보여준다.
touch
크기 0인 비어있는 새 파일을 생성한다.
만약 이미 해당 이름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최종 수정시간을 현재로 바꿔준다.
rm
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명령어다.
rm 파일명 :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 확인하는 메시지가 나온다. y로 응답해야 파일삭제가 진행된다.
rm -f 파일명 : 별도의 확인 없이 바로 해당 파일을 삭제한다.
rm -r 디렉터리명 : 해당 디렉터리를 삭제한다.
rm -rf 디렉터리명 : 해당 디렉터리와 하위의 디렉터리를 모두 삭제한다.
cp
cp abc def : 복사 대상 파일 abc를 def로 복사하여 새로 생성한다.
cp -r abc def: abc 디렉터리를 def로 하위 항목들까지 모두 복사한다
mkdir
Make Directory의 약자이다. 새로운 디렉터리를 생성한다. 생성한 사용자의 소유가 된다.
mkdir abc : 현재위치에 abc 디렉터리를 생성한다.
mkdir -p /abc/def : abc 디렉터리 아래에 def 디렉터리를 생성한다. 만약 abc도 없다면 둘 다 만든다.
cat
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보여준다. 여러개의 파일을 나열하면 파일을 연결해서 보여준다.
ex) cat a.txt b.txt
head
해당 파일의 앞 10행을 화면에 보여준다. 옵션으로 숫자를 주면 그만큼의 행만 앞에서부터 보여준다.
ex) head -5 a.txt
tail
해당 파일의 마지막 10행을 화면에 보여준다. 옵션으로 숫자를 주면 그만큼의 행만 뒤에서부터 보여준다.
ex) tail -5 a.txt
file
해당 파일이 어떤 종류인지 표시해준다.
clear
터미널 화면을 깔끔하게 지워준다.